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4월 1일, 통장에 있던 돈이 ‘디지털 토큰’으로 바뀐다? 지금 모르면 뒤쳐집니다

by 라임라임 2025. 3. 26.

 

디지털 화폐 사용 일러스트

2025년 4월 1일부터

은행 계좌에 있던 돈을 그대로 쓸 수 없게 되는 새로운 변화가 시작됩니다.

현금과 카드 대신 ‘디지털 예금 토큰’으로만 결제하는 시대가 본격적으로 도입되는 것입니다.

한국은행이 발행하고, 7개 국내 은행이 직접 운영하는 이 제도는 단순한 기술 변화가 아닌,

모든 국민의 ‘돈 쓰는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꾸게 됩니다.

✅ 디지털 화폐(CBDC) 테스트, 왜 지금 시작됐을까?

기존 현금과 카드 결제는 처리 속도, 수수료, 보안 측면에서 한계가 존재했습니다. 이에 따라 한국은행은 디지털 기반 예금 토큰을 도입하여 더 안전하고 빠른 금융 환경을 구축하고자 했습니다. 4월부터는 실제 시범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디지털 화폐 실사용이 진행됩니다.

✅ 참여 은행 및 대상은?

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농협, 기업은행, 부산은행 총 7개 은행이 참여하며, 각 은행별로 8,000~16,000명의 시범 이용자를 모집하고 있습니다. 만 19세 이상이며 수시 입출식 계좌를 보유한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예금 토큰이란 무엇인가?

기존 예금을 디지털 토큰으로 전환해 전자지갑을 통해 실물처럼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 자산입니다. 예금자 보호법이 적용되며, 카드 없이도 QR코드로 결제할 수 있는 미래형 결제 수단입니다.

✅ 실제 사용 방법과 사용처는?

  1. 은행 앱에서 전자지갑 개설
  2. 내 통장 연결 후 원하는 금액만큼 예금 토큰 전환
  3. QR코드로 지정 매장에서 결제

💳 사용 가능한 매장 예시:

  • 교보문고 (오프라인 전 매장)
  • 세븐일레븐 (무인 매장 제외)
  • 이디야 커피 (일부 지점)
  • 농협 하나로마트 (6개 지점)
  • 홈쇼핑, 배달 앱 등 일부 온라인 플랫폼

✅ 예금자 보호는 적용될까?

이번에 사용되는 예금 토큰은 한국은행과 은행이 공동 관리하며, 예금자 보호법 적용 대상입니다. 최대 1억 원까지 원금+이자가 보호되며, 은행별 한도로 각각 적용됩니다.

📌 지금 꼭 확인해야 할 것

  • 은행 앱에서 전자지갑 개설 가능 여부
  • 예금 토큰으로 전환 시 적용 금액 한도(1인 최대 100만 원)
  • 이용 가능한 매장과 결제 방식

디지털 화폐는 더 이상 미래의 기술이 아닙니다. 4월 1일부터 바뀌는 금융의 현실, 지금 준비하지 않으면 뒤처질 수 있습니다.